입안이 자주 마르고 텁텁한 느낌이 든다면, 단순한 갈증이 아니라 ‘구강건조증’일 수 있습니다. 이 증상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구강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강건조증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효과적인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강건조증이란?
구강건조증은 침 분비량이 감소하거나 침의 성분 변화로 인해 입안이 건조하게 느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약 1~1.5리터의 침을 분비하지만, 이보다 적게 분비되면 입안이 마른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증의 주요 원인
1.약물 복용
약 400여 종 이상의 약물이 구강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고혈압약 등이 침 분비를 억제하는 부작용을 가질 수 있습니다.
2.만성 질환
당뇨병, 빈혈, 쇼그렌 증후군과 같은 만성 질환은 침샘 기능을 저하시켜 구강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호르몬 변화
폐경기 여성은 호르몬 변화로 인해 침 분비량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구강건조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방사선 치료
두경부 부위의 방사선 치료는 침샘 조직에 영향을 미쳐 침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5.생활 습관
흡연, 과도한 음주, 카페인 섭취, 입으로 호흡하는 습관 등은 구강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증의 증상
- 입안이 마르고 끈적한 느낌이 듭니다.
- 음식을 씹거나 삼키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 입냄새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 혀나 입안에 작열감이나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 미각이 둔해지거나 변할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증 관리 및 예방 방법
1.수분 섭취
물을 자주 마셔 입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식사 전후, 취침 전후에 물을 마시는 습관을 들이세요.
2.침 분비 자극
무설탕 껌이나 신맛이 나는 과일, 비타민C 등을 섭취하여 침샘을 자극하면 침 분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3.구강 청결 유지
부드러운 칫솔과 불소 함유 치약을 사용하여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세요. 알코올이 함유되지 않은 구강세척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환경 조절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고,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5.생활 습관 개선
흡연과 과도한 음주를 피하고, 카페인 섭취를 줄이는 것이 구강건조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구강건조증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하다면,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입안이 마르는 증상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구강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원인과 관리 방법을 참고하여 구강건조증을 예방하고, 필요시 전문적인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함께보면 좋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