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처럼 대부분의 민원 업무가 온라인으로 가능한 시대에 ‘여권 신규발급도 인터넷으로 신청할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여권 신규발급의 인터넷 신청 가능 여부와 그 대안에 대해 정확하게 안내해드립니다.

여권 신규발급, 인터넷 신청 가능 여부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여권 신규발급은 인터넷으로 신청할 수 없습니다. 현재 외교부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여권 신청 시스템은 기존에 전자여권을 발급받은 이력이 있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만 이용할 수 있으며, 신규 신청자는 반드시 오프라인 방문 신청을 해야 합니다.
즉, 생애 첫 여권을 발급받으려면 본인이 직접 관할 구청이나 시청 등 여권 사무를 담당하는 기관에 방문하여 신청해야 합니다.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 경우는?
온라인을 통해 여권을 신청할 수 있는 경우는 아래와 같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기존에 전자여권을 발급받은 이력이 있는 경우
- 만 18세 이상 성인
- 본인의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 여권 사진을 전자파일로 준비한 경우
이 경우에는 정부24(https://www.gov.kr) 검색 창에 ‘여권 재발급’ 입력하여 신청하거나 KB스타뱅킹에서 ‘여권 재발급 신청’ 선택하여 신청가능합니다.
다만 신청 후 여권 수령은 반드시 본인이 직접 지정한 구청 또는 시청을 방문해야 합니다.
여권 신규발급 절차는 어떻게 될까?
신규로 여권을 발급받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 관할 구청 또는 시청 방문
여권 발급 사무를 처리하는 행정기관을 방문합니다.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든 가능하지만, 관할 구청을 이용하는 것이 처리 속도가 빠릅니다. - 신청서 작성 및 제출
현장에서 비치된 여권 발급 신청서를 작성하고,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을 함께 제출합니다. - 여권용 사진 준비
최근 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4.5cm 크기의 여권용 사진 1매가 필요합니다. 사진 규격이 엄격하니 미리 사진관에서 여권용이라고 말하고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 수수료 납부
10년 복수여권 기준 약 53,000원의 수수료를 납부합니다. 단수여권이나 미성년자의 경우 수수료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여권 수령
신청일로부터 약 4~7영업일 후 본인이 직접 방문하여 수령합니다. 본인확인 가능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며, 대리수령은 불가합니다.
여권 발급 수수료 요약 (2025년 기준)
여권 종류 | 수수료 | 비고 |
---|---|---|
10년 복수여권 | 53,000원 | 만 18세 이상 성인 기준 |
5년 복수여권 | 45,000원 | 미성년자 등 일부 대상 |
단수여권 | 20,000원 | 1회 출국용 여권 |
마무리하며
요즘은 많은 행정 업무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처리되고 있지만, 여권 신규발급만큼은 여전히 오프라인에서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하는 절차입니다. 특히 생애 처음 여권을 발급받는 분이라면 미리 사진과 신분증을 준비하고, 여유 있는 시간에 구청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향후에는 신규 신청도 온라인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방문 신청이 유일한 방법이니 계획을 세우실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